한투증권과 논의 중
롯데지주가 기업공개(IPO)에 실패한 물류 자회사 롯데글로벌로지스의 지분을 담보로 주가주식계약(PRS) 방식의 자금 조달에 나선다. 롯데지주는 유가증권시장 상장 실패로 에이치프라이빗에쿼티에 총 3800억원을 지급해야 한다.
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롯데지주는 이같은 내용의 조달 계획을 이달 이사회 안건으로 상정할 예정이다. 총 3800억원 가운데 1000억원 초반대 규모의 자금을 PRS를 통해 조달할 예정이다.
IPO 주관사였던 한국투자증권 등과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앞서 롯데글로벌로지스는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하고 지난 4월 유가증권시장 기업공개(IPO)를 추진했으나 대형 공모주 시장의 냉각 여파로 상장을 철회했다.
이로 인해 모회사인 롯데지주는 재무적투자자(FI)인 에이치프라이빗에쿼가 보유한 3800억원 규모의 풋옵션을 자체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롯데지주는 롯데글로벌로지스의 지분을 PRS 방식으로 유동화해 자금을 조달하기로 결정했다. PRS는 계약 만기 시 주가가 기준가보다 낮거나 높으면 서로 차익을 물어주는 파생상품이다. 기준가보다 주가가 오르면 매수자(금융사)가 매도자(기업)에게 상승분을 준다. 반대로 기준가 대비 주가가 내려가면 매도자가 매수자에게 손실 금액을 보전해야 한다.
모회사인 롯데지주가 이번 PRS 계약의 보증을 서는 방식이 유력하다. 신용등급이 AA-급인 롯데지주가 보증을 서면 PRS계약 금리를 약 1%포인트 낮출 수 있다.
최근 PRS를 활용한 자금조달은 대기업 중심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롯데케미칼은 미국과 인도네시아 자회사의 지분을 담보로 약 1조4000억원을 조달한 바 있다. 같은 방식으로 신세계와 SK그룹도 조단위 자금을 유치했다.
효성화학도 이달 중 PRS 방식으로 약 4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을 앞두고 있다. 효성화학은 지난달 한국투자증권, 대신증권 등을 대상으로 세일즈를 완료했다. 효성화학(BBB+)의 낮은 신용도를 보완하기 위해 지주회사인 효성이 보증을 제공하는 구조다. 이를 통해 금리를 당초 연 7%대에서 6% 중반대까지 낮췄다.